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 훈육 · 감정 · 행동 지도77

[9탄] “나 잘했지?” 칭찬을 계속 요구하는 아이, 어떻게 반응할까요? [9탄] “나 잘했지?” 칭찬을 계속 요구하는 아이, 어떻게 반응할까요? (preschool child praise addiction)✔ 그림 하나 그릴 때마다, 블록을 쌓을 때마다 “엄마, 나 잘했지?”, “이거 예쁘지?” 칭찬을 끊임없이 요구하는 아이. 계속 칭찬해주는 게 맞는 걸까? 이 글은 칭찬의 기준과 방향을 세우는 데 도움을 줍니다.아이들이 무언가를 할 때마다 “이거 봐봐! 멋지지?”, “내가 최고지?” 라고 반복적으로 물어올 때, 부모는 기특하면서도 “계속 이렇게 반응해줘도 될까?” “칭찬에 너무 의존하는 건 아닐까?” 하는 고민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칭찬은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는 중요한 도구지만 반복적으로 외부 평가를 요구하는 습관은 내적 동기를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무조건적인.. 2025. 5. 2.
[7탄] 아이가 거짓말을 시작했어요, 혼내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7탄] 아이가 거짓말을 시작했어요, 혼내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preschool child lying behavior)✔ “안 했어!”, “몰라!”, “동생이 그랬어!”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이가 거짓말을 하기 시작하면 부모는 당황하고 화부터 나기 쉽죠. 하지만 유아기의 거짓말은 ‘속이기 위한 악의’보다 발달 과정의 한 부분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 그 의미와 올바른 반응을 정리해드립니다.어느 날부터 아이가 하지 않은 일을 했다고 하거나, 실수를 남 탓으로 돌리거나, 자신이 아닌 척하며 말할 때가 생깁니다. “왜 거짓말을 해?”, “거짓말하면 안 되는 거 몰라?” 당황한 부모는 혼내고 싶지만, 유아기의 거짓말은 의도적으로 남을 속이려는 ‘도덕적 거짓말’이 아니라 자기 방어, 상상력, 감정.. 2025. 5. 2.
[3탄] 발표를 싫어하는 아이, 억지로 시키면 더 멀어집니다 [3탄] 발표를 싫어하는 아이, 억지로 시키면 더 멀어집니다 (kindergarten child public speaking)✔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발표 시간, 다른 아이들은 손을 들고 대답하는데 우리 아이는 고개를 숙이거나 뒤로 숨나요. 이 글은 ‘소극성’ 자체보다, 아이의 발표 경험을 어떻게 도와야 하는지를 다룹니다.“이 노래 누가 발표해볼까?” “네가 앞에 나와서 설명해볼래?” 교실 한복판, 선생님의 말에 주저 없이 손을 드는 아이도 있지만, 뒤로 숨거나 눈을 피하는 아이도 있습니다. 이럴 때 부모는 속으로 “저렇게 자신 없어 보여도 괜찮은 걸까?”, “이러다 친구들 사이에서 위축되는 거 아냐?” 하는 걱정을 하게 되죠. 하지만 중요한 건 모든 아이가 무대에서 표현하는 걸 즐기는 건 아니라는 사실입.. 2025. 5. 2.
[2탄] 등원 거부하는 아이, 감정보다 ‘패턴’을 먼저 살펴보세요 [2탄] 등원 거부하는 아이, 감정보다 ‘패턴’을 먼저 살펴보세요 (kindergarten child school refusal)✔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가기 싫다고 울거나 떼쓰는 아이, 부모 입장에서는 아침마다 마음이 무겁고 조급해지죠. 이 글은 단순 감정 이해를 넘어서 패턴과 원인을 정리하고 대응 방법까지 안내합니다.“오늘은 안 가!”, “배 아파서 못 가겠어…”, 현관 앞에서 울음을 터뜨리며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가지 않으려는 아이. “또 왜 이럴까?”, “선생님이랑 문제라도 있나?” 걱정되는 건 당연하지만, 아이가 매일 같은 시간에 등원을 거부한다면 감정보다 먼저 ‘패턴’을 살펴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언제,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방식으로 거부 행동이 반복되는지 정리해보면 해결의 실마리가 보입니다... 2025. 5. 2.
[1탄] 유치원 다녀오면 짜증내는 아이, 어떻게 반응할까? [1탄] 유치원 다녀오면 짜증내는 아이, 어떻게 반응할까? (kindergarten child after school behavior)✔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을 다녀온 후, 아이의 짜증과 울음이 반복된다면 꼭 읽어보세요. 이 글은 아이의 하루를 이해하고, 감정 폭발을 줄이기 위한 현실적이고 따뜻한 접근법을 소개합니다.“다녀왔습니다!”를 기대했지만, 현관문을 열자마자 울음을 터뜨리거나 “하지 마!”, “싫어!”라는 말부터 튀어나오는 아이. 장난감도 거들떠보지 않고, 작은 일에도 울컥하는 모습을 보면 부모는 당황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유치원에서 무슨 일이 있었나?”, “왜 집에 오면 이럴까?” 이런 생각이 드는 건 너무도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하지만 대개 이 행동은 **문제가 생긴 게 아니라, 아이가 하루.. 2025. 5. 2.
아이와 마트 갈 때, 훈육의 기회로 만드는 법 아이와 마트 갈 때, 훈육의 기회로 만드는 법 (kindergarten child behavior in supermarket)“과자 사줘!”, “이거 사달라니까!” 장난감을 들고 바닥에 드러눕는 아이, 카트 위에서 노래를 부르며 소리 지르는 아이… 마트에 가기만 하면 또 시작되는 아이의 행동에 부모는 땀이 나고, 시선이 따갑게 느껴집니다. “다른 아이들은 얌전한데 왜 우리 아이만 이럴까?”, “또 울고불고 하면 어쩌지?” 하지만 마트는 아이에게 단순한 ‘쇼핑 공간’이 아닙니다. 눈앞의 자극, 선택의 자유, 통제의 한계가 부딪히는 사회성 훈련의 현장입니다. 이 시간을 ‘참아야 하는 고비’가 아닌 생활 속 훈육의 기회로 바꿔볼 수 있습니다.마트는 선택과 절제, 규칙을 경험하는 훈련장입니다kindergarte.. 2025. 5. 1.
반응형